반응형

아파트 매수 기본 조건과 부동산 세금, 해외주식의 기본정보, 각종 포인트 조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- 아파트 기본적 추천 기준

1. 전철역에서 최대 도보로 10분을 넘지 않을 것

2. 아파트 근처에 초등학교가 있어 자녀의 등교가 편리할 것

3. 세대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만 최소 200세대 이상일 것

4. 엘리베이터가 지하주차장까지 연결될 것

5. 20년 이상 오래된 아파트를 매수한다면 용적률과 건폐율을 확인할 것

  용적률은 200% 이하, 건폐율은 20% 이하라면 재건축 조건에 부합하다.

 

- 부동산 세금

부동산 공시가격이 오르면 재산세도 오르는데 재산세는 7월과 9월, 1년에 총 2번 납부하고 

과세기준일은 6월 1일이다. 재산의 소유권 변동 시 에는 6월 1일은 피해야 한다.

주택을 매도한다면 잔금일을 5월 31일 이전으로, 매수한다면 6월 2일 이후로 하는게 좋다.

주택 연금에 가입하면 재산세의 25%를 감면받을 수 있다.

 

- 해외 주식

S&P500를 대표하는 SPY ETF, 나스닥 지수를 대표하는 QQQ ETF, 다우존스 지수를 대표하는 DIA ETF

 

S&P500 지수 관련 대표적 ETF 상품으로는 SPY ETF를 들 수 있는데 리스크를 동반하는 투자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 자산에 속한다. 워런 버핏도 수익성과 안정성를 고려해 개별 주식보다 S&P500 지수 투자를 권장했다.

 

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대표적인 상품은 DIA ETF가 있다.

DIA ETF도 연평균 수익률이 13%에 달하고 최근 10년간 수익률은 약 225%에 이른다.

 

해외주식을 매매할 때에는 CNBC 어플을 이용하거나 investing.com에 들어가서 실시간으로 현재가격을 확인 후 증권사 어플에서 구매하는게 좋다. 국내 증권사 어플의 경우 15분 지연된 시세를 표시하기 때문이다.

 

 

- 숨은 돈 찾기

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 www.cardpoint.or.kr  에서는 카드사별 전체 포인트를 확인 할 수 있다.

매년 소멸되는 카드 포인트가 약 1,000억원 수준이라고 한다. 카드 포인트를 확인해서 사용하자.

 
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 www.kinfa.or.kr 에서는  자신의 계좌에 숨은 돈을 찾을 수 있다. 홈페이지에서 휴면예금 조회를 하여 찾아보자. 예적금을 들어놓고 찾아가지 않는 돈이 수천억 원이라고 한다.

반응형

+ Recent posts